안녕하세요. 히쓰입니다. 여러분은 겨울철에 얼음낚시나 얼음 설매 등 얼음 위에서 하는 스포츠를 좋아하십니까? 야외 온도가 추웠다가 급격히 기온이 올랐을 때 호수나 강의 얼음이 약해집니다. 얼음이 약해질 때 많이 발생하는 사고가 얼음물속에 빠지는 사고입니다. 종종 뉴스를 통해 들리는 겨울철 물에 빠졌다는 사고들이 있습니다. 대부분 어린이들이 보호자 없이 강이나 호수의 얼음 위에서 놀다가 발생하거나 차량 운전 중 도로가 얼어 차가 미끌려서 강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사고들이 발생하면 주변에서 119에 신고를 하게 되지만 신속히 대응을 못하면 저체온증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오늘은 얼음물에 빠지는 경우가 발생되었을 때 대처 방법과 탈출방법에 대해 공유를 해보려고 합니다. 생존 정보 많이 알아서 중요한 순간에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 얼음물에 빠졌을때 생존하는 방법
2. 얼음물에 빠졌을때 탈출하는 방법
1. 얼음물에 빠졌을때 생존하는 방법
겨울철 얼음물에 빠졌을 때 여러분은 어떻게 대처하시겠습니까? 대부분 춥고 당황해서 허우적거리다가 시간을 다 소모할 것입니다. 얼음물에 빠졌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몸의 체온을 유지하는 행동입니다. 몸의 체온을 올리기 위해서는 초콜릿을 먹어야 합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알 수가 있습니다. 지난 2005년도 캐나다에서 교통사고로 인해 호수에 빠진 차량운전자가 초콜릿을 먹어 몸이 얼어가던 환경에서 물속에서 2시간 동안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 무사히 구조한 사례가 있습니다. 얼음물에 빠지게 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저체온증으로 심각한 후유증을 앓게 되거나 사망하게 됩니다. 공기 중의 체온이 내려가는 속도 보다 얼음물에서 체온이 떨어지는 속도가 30배 이상 빠르다고 합니다. 저체온이 발생되면 우리 몸의 포도당이 급속히 감소하면서 두통과 어지러움이 발생하고 의식을 잃게 됩니다. 0℃이하의 온도의 물에서 사람이 물 위에 떠있다고 해도 저체온증으로 보통 15분 만에 사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얼음물에 빠졌을 때 가장 좋은 것은 물에서 빨리 나오는 것이 좋지만 당장 혼자 힘으로 나오기 힘든 상황에서 구조대가 오기를 기다리며 생존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때 구조 대기 중 생사를 결정짓는 것이 초콜릿과 같은 당분을 섭취하여 체온유지를 하는 것입니다. 초콜릿 바 하나의 열량은 밥 두 공기 반을 먹었을 때의 열량과 같습니다. 초콜릿과 같은 설탕, 꿀, 코코아와 같은 고열량식품에 들어 있는 포도당은 흡수가 빠르기에 열량을 올리기에는 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에는 절대적인 적대 요소라 할수 있습니다.) 초콜릿은 고열량 식품으로 우리의 몸이 급격히 체온저하가 오면 빠르게 열을 발생시켜 최소한의 체온을 유지시켜 줍니다. 요즘처럼 혹한이 계속될 때 포도당 음식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생존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방송 프로그램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진짜 초콜릿이 얼마나 빨리 몸에 열을 올릴 수 있는지 실험을 하였습니다. 네 명의 실험참가자를 통해 처음 아무것도 섭취를 안 하고 차가운 물에 10 분가 있게 하였습니다. 그 결과 체온이 2도 이상 떨어진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이다음 차가운 물속에서 초콜릿과 다른 식품들을 각각 섭취하게 하였습니다. 이 결과는 아무것도 안 먹었을 때와 뜨거운 물 및 김밥을 섭취한 사람은 1도 이상이 더 떨어졌지만 초콜릿을 섭취한 실험참가자는 2도 가까이 체온이 올라간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알 수 있듯이 겨울철 야외활동을 할 경우에는 초콜릿과 같은 고열량 식품을 챙기는 것이 생존 팁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얼음물에 빠졌을때 탈출하는 방법
겨울철 낚시, 썰매, 스케이트 등 스포츠 공간으로 활용되는 강과 호수이지만 단단하게만 보이는 얼음 위를 함부로 발을 딛는 순간 자칫 얼음물에 빠져 사망하기까지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 어린이들이 얼음 위를 걷다가 물에 빠져 사망하는 사고와 얼음길에 차량이 미끄러져 강으로 차가 빠지는 사고가 있습니다.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얼음물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가장 좋은 생존 법칙입니다. 그럼 이런 경우 물속에서 탈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얼음이 깨져 물속에 빠지게 된다면 팔을 양쪽으로 뻗어 몸이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 안전하게 균형이 잡혔다면 얼음을 찍을 수 있는 열쇠나 단단한 펜을 찾습니다. 뾰족한 물건으로 얼음을 찍으면서 엎드린 채 물에서 빠져나옵니다. 이때 엎드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에서 빠져나왔다고 일어서게 되면 발에 체중이 실려 불안전한 얼음이 다시 깨지게 되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물에서 빠져나왔다면 몸을 엎드린 채 굴러서 땅이 있는 곳으로 피신하는 것이 좋습니다. 얼음물 빠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2월 말에서 3월에는 빙상 스포츠를 피하는 것이 좋고 간다고 해도 주변에 수초, 갈대가 있거나 다른 물이 유입되는 부분, 수심이 깊은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야외 빙상 활동도 좋지만 안전이 우선이 되어야 합니다. 생존 정보 잘 담아 가시길 바랍니다.
'생존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존 정보] 겨울철 사고! 전기장판 과열 화재 사고! (0) | 2023.01.28 |
---|---|
[생존 정보] 해양사고!거꾸로 파도!이안류에서 살아남기! (0) | 2023.01.28 |
[생존 정보] 안구 손상!스키장에서 살아남기! (0) | 2023.01.24 |
[생존 정보] 곰을 만났을때, 야생곰으로 부터 살아남기! (0) | 2023.01.23 |
[생존 정보] 길을 잃었을때 방향 찾기!산에서, 바다에서 길을 잃었을때 살아남기! (0) | 2023.01.16 |
댓글